중국, 금 세제 혜택 종료…이대로 중국발 금수요 둔화되나?

By

🔔 금프리미엄닷컴 알람 서비스 Beta
텔레그램 입장하기

한 눈에 보기

  • 핵심 정책 변화(25년 11월 1일): 중국은 상하이금거래소(SGE) 등에서 매입한 금을 소매로 판매할 때 적용되면 부가가치세(VAT) 매입세액 공제를 중단했습니다.
  • 공제 제한으로 중국 내 소매가격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으며, 이미 g당 1,160위안대로 오른 고가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습니다.
  • 그 와중에 Q3 2025 금 수요는 1,313t(+3% YoY) · ETF 순유입 222(약 260억달러) 등으로 글로벌 금값은 ETF · 거시 변수(달러 · 금리 · 정책)등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.

중국발 수요 둔화 시작인가!?

2025년 11월 1일부터 중국은 상하이거래소(SGE) 등에서 산 금을 소매로 판매하거나 투자용 제품(골드바·주화·보석)으로 가공해 판매할 때, 매입세액 공제용 전용 세금계산서 발급을 중단했습니다. 사실상 소매단 VAT 공제가 제한된 것입니다.

거래소 내부 매매는 면세 범주가 있으나 실물 출고 후 소매 단계에선 공제 불가 규정이 적용됩니다. 이는 중국 내 유통·가공·소매 단계 전반의 비용 구조에 변화를 유발합니다.

소매단의 공제 제한은 최종 판매가의 상방 압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고, 단기적으로 소매·보석·투자용 실물 수요의 둔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관련 기사

중국내 수요 환경은 어떠한가?

2025년 10월 초 중국 주요 금 브랜드 소매가는 g단 1,160위안 안팎까지 치솟았습니다. 올해 1월 약 630위안 대비 큰 폭의 상승이었으며, 고가 부담에 따른 실물 구매력 약화 정황이 보이고 있습니다.

현장 유통에선 25년 9월 기준 중국 딜러의 런던 대비 디스카운트가 $31~$71/oz까지 확대돼 수요 둔화를 시사했습니다.

이는 세제 변경 이전부터 고가 구간에서 중국 내 금의 물리적 수요의 탄력성이 약화되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.

관련 기사

글로벌 가격을 움직이는 힘: ETF·거시변수

세계금협회(World Gold Council, WGC)가 10월에 발간한 <Gold Demand Trends Q3 2025> 에 따르면, ETF 순유입은 222t(약 260억달러), 바·코인 316t으로 투자 수요가 가격을 견인했습니다.

반면, 주얼리 수요는 고가 부담으로 약세였고, 중앙은행 순매수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. 전체 분기 수요는 1,313t(+3% YoY)로 분기 사상 최고를 기록했습니다.

이는 국제 금가격이 중국 내 소매 정책만으로는 움직이기 보다는 글로벌 유동성·금리 기대·달러·ETF 흐름에 더 민감함을 시사합니다.

관련 글 읽기: <세계금협회 25년 Q3 금 수요 동향 리포트 요약>

결론

중국의 소매단 VAT 공제 종료(2025.11.01)은 중국 내 소매 가격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여 단기 물리 수요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

그러나 국제 금가격의 방향성은 여전히 ETF·미 연준 정책·달러·금리 등 거시 변수의 흐름에 더 민감함을 세계금협회 2025 Q3 금수요 동향 리포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
📊 실시간 차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