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 시세, 4000달러 돌파 · 실질금리 떨어지면 금값이 오르는 진짜 이유

By

🔔 금프리미엄닷컴 알람 서비스 Beta
텔레그램 입장하기
금 시세, 4000달러 돌파 · 실질금리 떨어지면 금값이 오르는 진짜 이유

금과 실질금리 간의 상관성 글을 읽어야 하는 이유

  • 핵심 공식: “실질금리(=명목금리-물가)가 내려갈수록 금값 상승”이라는 핵심 메커니즘을 한번에 이해합니다.
  • 예외까지 정리: 전쟁, 달러 강세, 중앙은행 매입 등으로 공식이 깨지는 순간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.
  •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: 지금 금을 살지 혹은 기다릴지 실전 판단 기준을 제공합니다.

금 가격 vs 실질금리(이게 왜 중요해?)

실질금리란?

  • 명목금리(Norminal Interest Rate): 은행 예금 금리나 채권 이자율처럼 겉으로 보이는 금리
  • 인플레이션(Inflation Rate): 물가가 얼마나 오르는지, 화폐 가치가 얼마나 떨어지는지 보여주는 수치
  • 실질금리: 명목금리 – 인플레이션

예를 들어, 은행 금리가 4%인데 인플레이션이 5%라면 실질금리는 4%-5%=-1%.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라는건, 사실상 돈을 예금해도 가치가 줄어든다는 뜻입니다.

금은 이자나 배당을 주는 자산이 아닙니다. 즉, 보유하고만 있는 자산이기 때문에 이자 수익이 가능한 자산(예: 예금, 채권) 쪽과 비교하여 얼마나 매력적인가가 중요합니다. 이 비교 기준을 바로 실질금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금과 실질금리의 일반적인 관계

출처: longtermtrends.net

금 가격과 실질금리 사이에는 역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. 위 그림은 longtermtrends에서 제공하는 금 1온스 가격과 실질 10년 인플레이션 조정 이자율(실질금리) 차트입니다. 이에 따르면 실질금리와 금 가격의 상관관계는 -0.82입니다. 상관관계는 1에 가까울수록 같이 움직이고, -1에 가까울수록 반대로 움직인다는 의미입니다. 즉 실질금리가 낮아지면 금은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.

왜 그럴까요?

우선, 실질금리가 높으면 예금/채권처럼 이자를 주는 자산이 더 매력적이니까 금 쪽으로 수요가 덜 옮겨갑니다. 반대로 실질금리가 낮으면 이자 수익이 거의 없거나 가치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들이 금 같은 자산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커집니다.

하지만 “항상” 그런 것은 아닙니다.

위에서 말한 일반 공식이 유요한 건 보통의 환경에서입니다. 그런데 시장에는 여러 변수가 겹치면서 예외가 자주 발생합니다. 아래는 그런 예외가 생기는 주요 요인들입니다.

예외 요인사례
지정학적 리스크전쟁, 국제 갈등 등이 있을 때 안전자산 수요가 강해져 금 매입 수요 상승
달러 강세/약세금은 달러 기준으로 거래되기 때문에, 달러 약세일 때 외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금이 싸게 느껴져 수요 증가
중앙은행 금 매입일부 국가들이 금 보유를 늘리면 구조적으로 금 수요가 밀려 올라가는 효과
시장 기대 선반영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실제 인하 전에 금값이 미리 오르는 경우
유동성/통화정책통화 팽창 또는 유동성 풀림이 있으면 금처럼 실물자산이 주목받기로 함

예를 들어, 2023년엔 미국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도 지정작적 불확실성+인플레이션 압박 등이 겹치면서 금값이 상승한 적이 있습니다.

즉, 실질금리가 금값을 설명하는 중요한 축이지만, 그것만으로는 모든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.

역사 속의 금값

아래는 과거 금값이 크게 움직였던 사례입니다.

  • 1970년대: 초인플레이션 + 실질금리 마이너스 = 금값 폭등
  • 1980~1990년대: 중앙은행이 강하게 금리를 올리고 물가 안정 성공으로 실질금리 상승 = 금의 장기 하락/횡보
  • 2000년대~금융위기 이후: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낮추고 유동성을 확대하여 실질금리 하락 = 금값 강세
  • 최근: 미 연준 금리 인상기임에도 불구하고 금값이 하락하지 않은 또는 반등하는 모습(예외 사례)

이 흐름을 보면, 실질금리의 변화 추세+예외 요인(정책,위기,통화정책 등)+달러 흐름을 같이 봐야 한다는게 핵심입니다.

왕초보를 위한 금 투자 체크포인트

출처: fred.stlouisfed.org

금 투자할때 실질금리 관점에서 유의하면 좋을 포인트를 정리하였습니다.

  1. 현재 실질금리 수준 확인
    • 명목금리-예상 인플레이션을 계산해보고, 실질금리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체크
  2.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는 시점 주목
    • 시장이 금리 인하 쪽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 금이 먼저 반응할 수 있습니다.
  3. 위험 또는 불확실성 요인 살피기
    • 전쟁, 금융 위기, 지정학 리스크 등이 있는지 체크
  4. 달러 흐름(달러 인덱스)을 같이 보기
    • 달러 약세면 금이 상대적으로 매력도가 커집니다.
  5. 포트폴리오 분산 고려
    • 금에만 투자하기 보다는 주식,채권,현금 등과 균형있는 포트폴리오 구성
  6. 국내 금현물 매수시에는 금 김치프리미엄 확인
    • 국제 금가격보다 국내 금가격이 비싸지는 현상(=김치프리미엄,괴리율)에서는 프리미엄을 꼭 확인

결론

일반적으로 실질금리 하락 > 금 매력도 상승 > 금값 상승 압력

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, 달러 흐름, 중앙은행의 매입이 공식을 흔들릴 수 있습니다.

실전 포인트: “현재 수준”보다는 “앞으로의 방향(금리인하 기대 등)”이 더 중요합니다.

참고자료

👉 금 김치프리미엄 차트

👉 은 김치프리미엄 차트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